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TCP, UDP는 네트워크의 계층들 중 데이터의 전달을 담당하는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왜 알아야 할까? 데이터의 소실방지, 순서보장과 같은 웹 어플리케이션의 신뢰성, 성능 개선을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HTTP3.0에 도입된 QUIC의 배경이다. 헤더비교 TCP Header 정보 헤더 정보들 중 플래그가 TCP의 특징과 관련이 있어 간단하게 설명하고 넘어가려고 한다. FLAG 역할 SYN 연결 설정을 요구할때 보내는 플래그로 TCP 접속시에 가장 먼저 보내는 패킷이다. ACK 최초의 SYN 패킷 이후에 전송되는 모든 패킷에 설정되는 플래그로, 상대방한테 패킷을 잘 받았다고..
인터럽트란 ? CPU가 특정한 이벤트에 대응하기 위해 발생하는 신호이다. 인터럽트는 CPU가 효율적으로 일을 하기위해 발생한다. 특정 프로세서가 "내 영역에서 해야할 일은 끝났어, 이제 CPU의 도움이 필요해!"하며 CPU에게 작업을 처리해달라고 인터럽트 신호를 보내면 CPU가 하던 일을 잠시 멈추고 요청받은 인터럽트를 처리하게 된다. 인터럽트의 종류 인터럽트의 종류는 크게 2가지로 분류된다. 하드웨어 생성 인터럽트: 입출력 완료와 같이 하드웨어 장치가 CPU에게 작업처리를 요청하는 인터럽트이다. 소프트웨어 생성 인터럽트: 0으로 나누기 또는 유효하지 않은 메모리 접근와 같은 예외(exception)나 트랩(trap) 혹은 시스템 콜이 있다. 인터럽트 구동방식 일반적으로, 각 장치 컨트롤러에는 장치드라이..
오늘날 대부분의 컴퓨터는 폰노이만 구조를 따른다. 폰 노이만 구조는 애니악에서 사용했던 하드웨어 프로그램 방식이 아닌, 프로그램 내장 방식으로 프로그래밍과 컴퓨터의 유지보수를 훨씬 효율적으로 만들었다. 폰 노이만 구조 폰 노이만 구조 폰 노이만 구조는 위 그림처럼 중앙 처리 장치 (CPU), 메모리 (Memory), 프로그램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CPU와 메모리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이 둘은 버스를 통해서 연결된다. 폰 노이만 구조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폰 노이만 구조의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자. 중앙 처리 장치 (CPU) 연산을 수행하고 명령어를 실행하는 핵심 부분으로 연산장치(Arithmetic Logic Unit, ALU)와 제어장치(Control Unit), 레지스터(Reg..